여러분의 턱관절이 아픈 이유! - [30년 경력 치과의사 전문의 직접작성] > 블로그

본문 바로가기
서브 헤더 PC 이미지
서브 헤더 모바일 이미지

여러분의 턱관절이 아픈 이유! - [30년 경력 치과의사 전문의 직접작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20회 작성일 25-07-02 17:02

본문

2f5aa257737937177a6476d7b1fec54d_1753927244_4795.png
 

 요즘 "입을 벌릴 때 딱딱 소리가 나요",

 "턱이 아파서 음식을 먹기 힘들어요",

"아침에 일어나면 턱이 뻐근하고, 둔해요"라는

 고민으로 병원을 찾아주시는 분들이 정말 많아졌습니다.

 

현대인들은 심장, 간, 폐와 같은

주요 장기에는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만,

턱관절 건강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턱관절은 우리가 하루에 수천 번 사용하는,

그야말로 '가장 바쁜 관절' 중 하나입니다.

 7d490f1f59f02ab46480ecbf79b1bd05_1753908818_073.png 

안녕하세요,

보가치과 턱관절 클리닉

유형우 대표원장입니다.

 

오늘은 왜 현대 사회에서

턱관절 문제가 이렇게 급증하고 있는지,

그 근본적인 원인들에 대해

함께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턱관절, 우리 몸에서 가장 복잡한 관절입니다.

 7d490f1f59f02ab46480ecbf79b1bd05_1753908832_0552.png 

먼저 턱관절이 얼마나 특별한

관절인지 아시나요?

 

턱관절은 인대, 디스크, 근육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놀랍게도 열두 쌍의 뇌신경 중

아홉 쌍이 이 주변을 통과합니다.

이것이 바로 턱 문제가 생겼을 때

두통, 목 통증, 어깨 결림까지 함께 나타나는 이유입니다.

 

우리가 음식을 먹고, 말하고, 하품하는

모든 동작에서 턱관절이 활동합니다.

 

 하루에 몇 번이나 턱을 움직이는지

세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수천 번은 족히 됩니다.

 

현대 생활이 만든 '턱관절의 적들'

 

그렇다면 왜 과거보다

턱관절 문제가 급증하고 있을까요?

제가 20년 넘게 환자분들을 진료하며

발견한 주요 원인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자세의 변화입니다.

7d490f1f59f02ab46480ecbf79b1bd05_1753908853_9679.png 

"우리 몸을 반듯하게

만들어주는 것은 걷는 것입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자동차가 나오면서 걷지 않게 되었죠.

 

게다가 현대인들은 목을 빼고

나쁜 자세로 장시간 일합니다.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이런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습니다.

 

두 번째, 스트레스와 긴장입니다.

7d490f1f59f02ab46480ecbf79b1bd05_1753908863_7226.png 

많은 분들이 모르시는 사실이 있습니다.

이갈이와 이악물기는 단순한 나쁜 습관이 아닙니다.

이는 ‘뇌가 긴장 상태를 완화하고

이완 상태를 유도하기 위한

무의식적 생리적 행동’입니다.

 

스트레스나 긴장으로 뇌가 과흥분 상태에 빠지면,

깊은 수면에 들어가기 어려워집니다.

이때 뇌는 스스로 긴장을 해소하려고

 '강제적으로 긴장을 풀어주는 행위'를 만들어내는데,

바로 그것이 이갈이와 이악물기입니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 부분들

 

"이갈이는 무조건 나쁜 것이다?"

 

아닙니다.

적정 수준의 이갈이는

뇌의 이완을 돕는 생리적 현상입니다.

 문제는 과도할 때입니다.

 낮에 간혹 어마어마한 힘으로 무는 분들은

상당한 병적 상태라고 봐야 합니다.

 

"턱관절 문제는 턱만의 문제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로 제가 치료한 한 환자분은

턱관절 치료를 받으면서

허리 통증까지 함께 좋아지셨습니다.

 

왜일까요?

우리 몸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골반, 천골, 요추, 흉추, 경추, 뒤통수,

턱관절이 모두 연계되어 있어서,

 한 곳이 삐뚤어지면 다른 곳도 영향을 받습니다.

 

현대인의 턱관절이 위험한 이유

 7d490f1f59f02ab46480ecbf79b1bd05_1753908872_5503.png 

1. 신체 활동 부족 : 걷기가 줄어들면서 전신 균형이 무너집니다

2. 장시간 같은 자세 : 컴퓨터 작업, 스마트폰 사용으로 목과 어깨가 경직됩니다

3. 스트레스 증가 : 현대 사회의 복잡함이 뇌의 긴장 상태를 만듭니다

4. 수면의 질 저하 : 깊은 잠을 자지 못해 밤에 이갈이가 증가합니다

 

이런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턱관절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것입니다.

 

핵심은 '전신의 균형'입니다.

 

턱관절 문제는 단순히 턱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몸 전체의 균형이 무너졌다는 신호입니다.

 

제가 환자분들께 늘 말씀드리는 것은

 "춥지 않으면 떨지 않는 것처럼,

몸이 편안하면 이를 갈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전신의 균형을 맞춰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같은 고민을 가지신 분들께 드리고 싶은 조언은,

많이 걸으시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시며,

화면은 항상 눈높이로 맞춰서 작업하시라는 것입니다.

 작은 변화들이 모여 큰 개선을 만들어냅니다.

 

턱관절 문제로 고생하고 계신 모든 분들이

하루빨리 편안한 일상을 되찾으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_

보가치과 턱관절 클리닉

 유형우 대표원장

 



보가치과의원 6층 턱관절 클리닉 대표 오경선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온고을로 28 6층 (서신동) 사업자 등록번호 402-24-76681

전화 063-255-7527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오경선

Copyright © 보가치과의원 | 전주턱관절, 전주치과 All rights reserved.

대표전화

063.255.7527

진료시간

  • 평 일오전 10:00 ~ 오후 06:30
  • 토요일오전 08:30 ~ 오후 12:30
  • 목요일휴진
  • 점심시간오후 12:30 ~ 14:00
간편상담신청